판시사항 체크>
1. 사안에서는 청소년이 나이트클럽에서 선불 결제(!)를 하고 나서 술을 시켰는데, 나이트 클럽 측에서 술을 내어 오다가 수상함을 느끼고 신분증제시를 요구한 뒤 밖으로 데리고 나온 상황이었음(따라서 아직 술을 마시지는 못한 상태).
2. 수사기관은 일단 청소년이 술값을 선불로 결제하여 나이트 클럽에서 술을 내오기까지 하였으므로, 청소년 주류판매에 해당된다고 보고 기소.
3. 그러나 대법원은 청소년 주류판매의 요건을 [청소년 + 유상 + 주류제공]으로 보면서, 이 때의 주류제공은 총소년이 실제로 술을 마시거나 마실 수 있는 상태라고 본 후, 사안의 경우에는 청소년이 술을 마시지도 못했고, 마시기 전에 밖으로 끌고 나왔으므로 마실 수 있는 상태라고 할 수도 없다고 보아 무죄취지 판단.
4. 유의할 것은 청소년에게 술을 팔았고, 청소년이 아직 술잔에 입을 대기 전에 단속이 되었다면, 대법원 판시 취지에 비추어 아직 술을 마시지는 않았지만 술을 마실 수 있는 상태(단속이 안되었으면 마실 수 있었을 것이므로)에 해당되어 청소년 주류판매로 죄책을 지게 될 것임.
===========================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8도3211 판결 【청소년보호법위반】
【판시사항】
[1] 청소년보호법 제51조 제8호에 정한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하는 행위’의 의미 및 그 기수시기
[2] 유흥주점 운영자가 업소에 들어온 미성년자의 신분을 의심하여 주문받은 술을 들고 룸에 들어가 신분증의 제시를 요구하고 밖으로 데리고 나온 사안에서, 주류판매에 관한 청소년보호법 위반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재판요지】
[1] 청소년보호법 제51조 제8호 소정의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하는 행위’란 청소년에게 주류를 유상으로 제공하는 행위를 말하고,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였다고 하려면 청소년이 실제 주류를 마시거나 마실 수 있는 상태에 이르러야 한다.
[2] 유흥주점 운영자가 업소에 들어온 미성년자의 신분을 의심하여 주문받은 술을 들고 룸에 들어가 신분증의 제시를 요구하고 밖으로 데리고 나온 사안에서, 미성년자가 실제 주류를 마시거나 마실 수 있는 상태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술값의 선불지급 여부 등과 무관하게 주류판매에 관한 청소년보호법 위반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참조법령】
[1] 청소년보호법 제26조,제51조 제8호
[2] 청소년보호법 제26조,제52조 제8호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8. 3. 25. 선고 2007노484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청소년보호법 제51조 제8호 소정의 ‘청소년에게 주류를 판매하는 행위’란 청소년에게 주류를 유상으로 제공하는 행위를 말하고,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하였다고 하기 위하여는 청소년이 실제 주류를 마시거나 마실 수 있는 상태에 이르러야 한다.
위 법리에 비추어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들을 살펴보면, 피고인은 2005. 12. 5.부터 안성시 (이하 생략)7층에서 “(이하 생략)나이트클럽”이라는 상호로 유흥주점을 운영하고 있었던 사실, 공소외 1은 1988년생으로서 미성년자인데도, 2006. 2. 17. 00:30경 위 나이트클럽에 혼자 들어가 그곳의 룸 안에서 종업원인 공소외 2에게 술과 안주를 주문한 사실, 위 공소외 2는 공소외 1에게 술값을 선불로 결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공소외 1로부터 신용카드를 건네받았으나 위 카드는 결제승인이 나지 않은 사실, 그 후 공소외 1은 공소외 2에게 다른 신용카드를 건네주어 술값을 결제하고는 위 나이트클럽에 있는 모든 러시아 아가씨들을 불러달라고 요구한 사실, 공소외 2는 이러한 공소외 1의 행동 등을 수상하게 여기고 피고인에게 이 같은 사정을 말한 사실, 이에 피고인은 공소외 2와 함께 술과 안주를 가지고 가 공소외 1이 있는 룸 안으로 들어가 위 공소외 1에게 신분증을 보여달라고 요구하고, 공소외 1이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자 그를 밖으로 데리고 나갔는데, 마침 도착한 경찰관들이 위 공소외 1을 절도 혐의로 체포한 사실 등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이 피고인이 공소외 1이 있는 룸 안으로 술을 가지고 들어갔다 하더라도, 이와 동시에 피고인이 공소외 1에게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고 공소외 1이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자 공소외 1로 하여금 술을 마시지 못하게 한 채 밖으로 데리고 나왔다면, 공소외 1이 실제 주류를 마시거나 마실 수 있는 상태에 이르지 않았다고 봄이 상당하고, 피고인이 공소외 1로부터 그 술값을 선불로 받았다거나 공소외 1의 신분을 확인하려고 한 이유가 청소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고 하여 이와 달리 볼 수는 없으므로, 결국 피고인이 청소년인 공소외 1에게 주류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없다.
같은 취지에서,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부분 청소년에 대한 주류판매의 공소사실을 무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주류판매로 인한 청소년보호법 위반죄의 기수시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 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판례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권상실 관련] 갑과 을을 입양한 양모가 갑을 폭행하여 사망하게 한 경우, 을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범죄나 학대를 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친권상실 사유가 되는지? (0) | 2016.02.01 |
---|---|
[청소년 주류판매] 호적상에는 청소년이지만 실제 출생한 날로 따지면 성년인 사람에게 술을 팔았어도 처벌받는지? (0) | 2016.02.01 |
대부업 등록을 하지 않은 대부업자에 대하여는 대부업등록법상 최고이자율이 적용되는가, 아니면 이자제한법상 최고이자율이 적용되는가? (0) | 2016.02.01 |
처음에 성년자들만 술을 마시다가 나중에 청소년이 합석하여 술을 마신 경우 (0) | 2016.02.01 |
청소년 주류제공에 있어 연령확인 의무 이행의 정도 (0) | 2016.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