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유예 기간 중에는 흔히 생각하기 쉬운 것이 고의에 기한 금고 이상의 죄만 범하지 않는다면 집행유예가 취소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입니다. 물론 집행유예의 필요적 취소사유로서는 집행유예 기간 중에 고의로서 금고이상의 죄를 범하는 것이 되므로, 벌금형 이하의 죄의 경우에는 필요적 취소를 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주의할 것이, 집행유예의 임의적 취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집행유예 기간 중에 행한 범죄가 벌금형에 해당되는 범죄라 하더라도 다른 제반사정과 종합하여 집행유예의 임의적 취소사유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 해당 범죄에 대한 형사판결이 확정되기 전에도 집행유예의 임의적 취소 결정이 가능합니다.
===================================
대법원 2010. 5. 27. 자 2010모446 결정 【집행유예취소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2]동종 전력이 있는 피고인이 음주운전 등으로 집행유예 선고와 함께 보호관찰을 명받은 후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며 동종의 무면허운전을 한 사안에서, 피고인에 대한 집행유예취소 청구를 기각한 원심결정에 법리오해 및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2]이미 수차례 음주 및 무면허운전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피고인이 같은 범행으로 집행유예 선고와 함께 보호관찰 등을 명받았음에도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여 집행유예취소 청구가 되어 유치되기까지 하였음에도,위 집행유예취소 청구가 기각된 후에 종전과 같이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며 동종의 무면허운전을 한 사안에서,보호관찰 대상자로서의 준수사항을 심각하게 위반하였다고 할 것임에도,피고인에 대한 집행유예취소 청구를 기각한 원심결정에 법리오해 및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2]형법 제64조제2항,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제47조
【피 고 인】 피고인
【재항고인】 검사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사건을 대구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법원이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형법 제64조 제2항에 규정된 집행유예취소의 요건에 해당하는가를 심리함에 있어,보호관찰기간 중의 재범에 대하여 따로 처벌받는 것과는 별도로 보호관찰자 준수사항 위반 여부 및 그 정도를 평가하여야 하고,보호관찰이나 사회봉사 또는 수강명령은 각각 병과되는 것이므로 사회봉사 또는 수강명령의 이행 여부는 보호관찰자 준수사항 위반 여부나 그 정도를 평가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원심결정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피고인은 무면허운전 및 음주운전으로 수차례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데,2008.10.21.대구지방법원에서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죄 및 도로교통법위반(무면허운전)죄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보호관찰을 받을 것과 준법운전강의 40시간의 수강 및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받고 같은 달 29일 위 판결이 확정된 사실,피고인은 위 판결 확정일로부터 10일이 훨씬 지난 2009.1.19.에서야 보호관찰소에 신고서를 제출하였고,이후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과 수회에 걸친 수강명령 집행지시에 불응하였으며,보호관찰관은 수회에 걸쳐 ‘계속하여 준수사항을 위반할 경우에는 구인·유치·처분취소 등불이익한 처분을 받게 된다’는 경고를 한 사실,대구지방검찰청 검사는 피고인에 대한 유치허가를 받아 피고인을 유치한 다음 2009.7.22.대구지방법원에 피고인이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였다는 이유 등으로 집행유예취소 청구를 하였으나,대구지방법원은 2009.7.24.‘피고인이 사회봉사명령을 완료하였고,손가락 및 갈비뼈 골절로 입원치료를 받기도 하였으며,잘못을 반성하고 앞으로 수강명령을 성실히 이행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집행유예취소 청구를 기각한 사실,피고인은 위 집행유예취소 청구가 기각된 후에도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고 수강명령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보호관찰관은 다시 위와 같은 내용의 경고를 한 사실,그러던 중 피고인은 2009.9.대구 북구 침산동 소재 마산찜 식당 유리창을 깨뜨린 혐의로 2009.11.10.대구지방검찰청에서 기소유예 처분을 받고,2009.10.28.무면허운전을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위 법리에 앞서 본 사실관계를 비추어 보면,피고인은 이미 수차례 음주 및 무면허운전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고 같은 범행으로 집행유예 선고와 함께 보호관찰 등을 명받았음에도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고 급기야 집행유예취소 청구가 되어 유치되기까지 하였음에도 위 집행유예취소 청구가 기각된 후에 종전과 같이 보호관찰관의 지도·감독에 불응하며 동종의 무면허운전을 하였으므로,피고인이 사회봉사명령과 수강명령을 이행하였고 재범에 대하여는 당해 재판을 통하여 그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는 것과는 별도로,보호관찰 대상자로서의 준수사항을 심각하게 위반하였다고 할 것이다.그런데도 원심이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인에 대한 위 집행유예의 선고를 취소한 제1심을 파기하고 이 사건 집행유예취소 청구를 기각한 데에는,집행유예취소 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심리를 다하지 않음으로써 재판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박시환 안대희(주심) 차한성
'판례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원에 변론재개의무가 인정되는 경우 (0) | 2016.02.01 |
---|---|
집행유예의 임의적 취소에 있어 준수사항 위반행위에 관한 형사재판결과를 기다려야 하는지 여부(소극) (0) | 2016.02.01 |
사회봉사명령 이행 후 집행유예가 취소된 경우 그 봉사명령이행 기간을 본형에 고려하지 않는 것이 위헌인지 여부(합헌) (0) | 2016.02.01 |
미성년 성범죄 피해자 본인은 처벌불원의사를 표현하였으나 그 법정대리인은 엄벌을 요구한 경우(공소기각 사유 불인정, 양형요소로는 인정) (0) | 2016.02.01 |
변론종결 후 새로 선임된 변호인이 변론재개신청하였으나 불허한 경우 그것이 위법한지?(적법) (0) | 2016.02.01 |